더브레인 설문조사#0801hyy
<개인인적사항>

1. 지역*

1. 지역*

2. 성명 (이니셜) *

2. 성명 (이니셜) *

3. 학교명*

3. 학교명*

4. 학년 *

4. 학년 *

5. 성별 *

5. 성별 *

1. 창의적 문제해결력

1-1. 문제발견

1-1. 문제발견

1. 나는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고 필요를 찾아낸다.*

1. 나는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고 필요를 찾아낸다.*

2. 나는 고정된 생각에서 벗어나 새로운 생각을 떠올리곤 한다.*

2. 나는 고정된 생각에서 벗어나 새로운 생각을 떠올리곤 한다.*

3. 나는 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대해 불편함을 인식하고 이를 고쳐보려고 한다.*

3. 나는 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대해 불편함을 인식하고 이를 고쳐보려고 한다.*

4. 나는 다양한 정보들을 연결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는다.*

4. 나는 다양한 정보들을 연결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는다.*

5. 나는 남들이 당연하게 생각하는 것에 대해서도 의문을 갖고 문제를 찾아낸다.*

5. 나는 남들이 당연하게 생각하는 것에 대해서도 의문을 갖고 문제를 찾아낸다.*

6. 나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때 기존과 전혀 다른 관점으로 문제를 재해석해본다. *

6. 나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때 기존과 전혀 다른 관점으로 문제를 재해석해본다. *

1-2. 문제정의

1-2. 문제정의

7. 나는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문제해결의 핵심이라고 생각한다.*

7. 나는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문제해결의 핵심이라고 생각한다.*

8. 나는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고 문제가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8. 나는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고 문제가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9. 나는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해당 문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9. 나는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해당 문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1-3. 요구분석

1-3. 요구분석

10. 내가 생각한 문제가 다른 사람에 필요한지를 이해하기 위해 정보를 탐색한다.*

10. 내가 생각한 문제가 다른 사람에 필요한지를 이해하기 위해 정보를 탐색한다.*

11. 내가 생각한 문제가 다양한 사람의 입장에서도 필요한지 생각한다.*

11. 내가 생각한 문제가 다양한 사람의 입장에서도 필요한지 생각한다.*

12. 내가 생각한 문제를 해결한다면, 다른 사람에게도 유용할지 알아본다.*

12. 내가 생각한 문제를 해결한다면, 다른 사람에게도 유용할지 알아본다.*

1-4. 가설검증 및 해결안 도출

1-4. 가설검증 및 해결안 도출

13. 나는 내가 도출한 대안이 타당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제품을 만들어본다.*

13. 나는 내가 도출한 대안이 타당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제품을 만들어본다.*

14. 내가 도출한 대안이 유용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직접 실험해 본다.*

14. 내가 도출한 대안이 유용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직접 실험해 본다.*

15. 나는 다양한 대안을 비교 분석하여 창의적이고 최적의 해결안을 도출한다.*

15. 나는 다양한 대안을 비교 분석하여 창의적이고 최적의 해결안을 도출한다.*

16. 나는 창의적이고 최적의 해결안을 도출하는 체계적인 방법을 가지고 있다.*

16. 나는 창의적이고 최적의 해결안을 도출하는 체계적인 방법을 가지고 있다.*

2. 도전정신

2-1. 혁신 추구성

2-1. 혁신 추구성

17. 나는 고정관념이나 선입견에서 벗어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한다.*

17. 나는 고정관념이나 선입견에서 벗어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한다.*

18. 나는 습관적으로 해오던 방식을 탈피하여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바꾸려고 시도한다.*

18. 나는 습관적으로 해오던 방식을 탈피하여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바꾸려고 시도한다.*

19. 나는 예상하지 못했던 상황에서도 평정심을 잃지 않고자 노력한다. *

19. 나는 예상하지 못했던 상황에서도 평정심을 잃지 않고자 노력한다. *

20. 나는 문제 상황이 발생하면 유연하고, 신속하게 대처한다. *

20. 나는 문제 상황이 발생하면 유연하고, 신속하게 대처한다. *

21. 나는 새롭게 접하는 것들에 대해 두려움을 갖지 않고 즐겁게 받아들인다. *

21. 나는 새롭게 접하는 것들에 대해 두려움을 갖지 않고 즐겁게 받아들인다. *

2-2. 불확실성 수용력

2-2. 불확실성 수용력

22. 나는 불확실한 상황일지라도 주저하기보다는 과감하게 결정하고 행동하는 편이다.*

22. 나는 불확실한 상황일지라도 주저하기보다는 과감하게 결정하고 행동하는 편이다.*

23. 나는 불확실하지만 잠재적 기회를 발굴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위험을 감수하고 목표를 달성하려는 편이다.*

23. 나는 불확실하지만 잠재적 기회를 발굴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위험을 감수하고 목표를 달성하려는 편이다.*

24. 나는 불확실한 상황에서 위험을 감수하고서라도 새로운 일을 시작하려한다.*

24. 나는 불확실한 상황에서 위험을 감수하고서라도 새로운 일을 시작하려한다.*

25. 나는 새로운 환경 속에서 목적달성을 위해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

25. 나는 새로운 환경 속에서 목적달성을 위해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

26. 내가 추구하고, 해야 하는 일이라면, 성공여부가 불확실한 일이라도 수용한다.*

26. 내가 추구하고, 해야 하는 일이라면, 성공여부가 불확실한 일이라도 수용한다.*

2-3. 행동 실행력

2-3. 행동 실행력

27. 나는 아무리 힘들어도 하기로 정한 것은 끝까지 추진한다.*

27. 나는 아무리 힘들어도 하기로 정한 것은 끝까지 추진한다.*

28. 나는 실패할 가능성이 높은 과제라도 끈질긴 열정과 의지를 갖고 끝까지 추진한다.*

28. 나는 실패할 가능성이 높은 과제라도 끈질긴 열정과 의지를 갖고 끝까지 추진한다.*

29. 나는 어려운 일이 생기더라도 내가 해야 할 일은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해결하고자 한다.*

29. 나는 어려운 일이 생기더라도 내가 해야 할 일은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해결하고자 한다.*

30. 나는 가치 있는 목표를 설정하고 그 달성을 위해 구체적인 실현방안을 수립하여 끈기를 가지고 실천한다.*

30. 나는 가치 있는 목표를 설정하고 그 달성을 위해 구체적인 실현방안을 수립하여 끈기를 가지고 실천한다.*

31. 나는 필요한 기술이나 지식의 습득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과제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한다.*

31. 나는 필요한 기술이나 지식의 습득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과제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한다.*

3. 지속적 학습능력

3-1. 학습 민첩성

3-1. 학습 민첩성

32. 나는 현재 관심 분야의 새로운 이슈에 빠르게 반응하여 학습한다.*

32. 나는 현재 관심 분야의 새로운 이슈에 빠르게 반응하여 학습한다.*

33. 나는 현재 관심 분야에 일어나고 있는 트렌드 분석을 통해 의미있는 변화나 기회에 주목한다.*

33. 나는 현재 관심 분야에 일어나고 있는 트렌드 분석을 통해 의미있는 변화나 기회에 주목한다.*

34. 나는 주변 사람들보다 먼저 나의 현재 관심 분야에서 일어나고 있는 문제의 쟁점이나 갈등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있다.*

34. 나는 주변 사람들보다 먼저 나의 현재 관심 분야에서 일어나고 있는 문제의 쟁점이나 갈등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있다.*

35. 나는 사회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분석하여 내 현재 관심분야의 경쟁적 이점을 찾아내고자 노력한다.*

35. 나는 사회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분석하여 내 현재 관심분야의 경쟁적 이점을 찾아내고자 노력한다.*

36. 나는 주변 사람들보다 먼저 현재 관심 분야의 급변하는 흐름이나 이슈에 관심을 가지고 살펴본다. *

36. 나는 주변 사람들보다 먼저 현재 관심 분야의 급변하는 흐름이나 이슈에 관심을 가지고 살펴본다. *

3-2. 경험적 성찰학습능력

3-2. 경험적 성찰학습능력

37. 나는 과제를 끝낸 후 재검토 과정을 통해 보완점을 찾는다.*

37. 나는 과제를 끝낸 후 재검토 과정을 통해 보완점을 찾는다.*

38. 나는 수행한 과제에 대한 성공 및 실패의 원인을 분석한다. *

38. 나는 수행한 과제에 대한 성공 및 실패의 원인을 분석한다. *

39. 나는 과제 수행에 실패해도 좌절하지 않고, 실패원인을 분석하여 개선점을 찾아낸다. *

39. 나는 과제 수행에 실패해도 좌절하지 않고, 실패원인을 분석하여 개선점을 찾아낸다. *

40. 나는 수행과제에 대해 철저한 분석을 통하여 현재 상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설정한 목표와의 차이를 확인한다.*

40. 나는 수행과제에 대해 철저한 분석을 통하여 현재 상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설정한 목표와의 차이를 확인한다.*

41. 나는 과제를 망치더라도 좌절하거나 포기하지 않고, 실패 원인을 분석하여 다시 성공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한다.*

41. 나는 과제를 망치더라도 좌절하거나 포기하지 않고, 실패 원인을 분석하여 다시 성공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한다.*

4. 분석적 사고력

4-1. 논리와 비판적 사고력

4-1. 논리와 비판적 사고력

42. 나는 객관적인 정보 분석에 근거하여 논리적인 결론을 내린다. *

42. 나는 객관적인 정보 분석에 근거하여 논리적인 결론을 내린다. *

43. 나는 정확성과 합리성을 갖고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를 종합적으로 생각한다.*

43. 나는 정확성과 합리성을 갖고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를 종합적으로 생각한다.*

44. 나는 어떤 진술이나 주장을 판단하기 앞서 그와 관련된 것들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합리적으로 판단한다.*

44. 나는 어떤 진술이나 주장을 판단하기 앞서 그와 관련된 것들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합리적으로 판단한다.*

45. 나는 문제에 접근할 때 객관적이고 알맞은 근거를 바탕으로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평가한다.*

45. 나는 문제에 접근할 때 객관적이고 알맞은 근거를 바탕으로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평가한다.*

46. 나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사실이나 신념일지라도 의문이 생기면 객관적, 논리적 근거를 기반으로 의문을 제기한다. *

46. 나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사실이나 신념일지라도 의문이 생기면 객관적, 논리적 근거를 기반으로 의문을 제기한다. *

4-2. 수·과학적 추론능력

4-2. 수·과학적 추론능력

47. 나는 가설 검증에 필요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정리할 수 있다.*

47. 나는 가설 검증에 필요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정리할 수 있다.*

48. 나는 주어진 가설을 과학적 추론과정을 거쳐 검증해 낼 수 있다. *

48. 나는 주어진 가설을 과학적 추론과정을 거쳐 검증해 낼 수 있다. *

49. 나는 수학·과학적인 개념이나 원리, 법칙을 실생활과 접목하여 설명할 수 있다. *

49. 나는 수학·과학적인 개념이나 원리, 법칙을 실생활과 접목하여 설명할 수 있다. *

50. 나는 관심 분야의 수치화된 자료나 각종 도표를 분석 및 추론하여 결론을 내릴 수 있다.*

50. 나는 관심 분야의 수치화된 자료나 각종 도표를 분석 및 추론하여 결론을 내릴 수 있다.*

51. 나는 구현된 결과물, 수행된 실험 등을 보고 수학적 설계 및 과학적 실험 원리를 역으로 설명할 수 있다. *

51. 나는 구현된 결과물, 수행된 실험 등을 보고 수학적 설계 및 과학적 실험 원리를 역으로 설명할 수 있다. *

5. 지식재산전문성

5-1. 지식재산 이해능력

5-1. 지식재산 이해능력

52. 나는 새로운 아이디어는 특허권과 같은 지식재산권으로 권리화되고 보호 되어야 한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52. 나는 새로운 아이디어는 특허권과 같은 지식재산권으로 권리화되고 보호 되어야 한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53. 나는 지식재산(특허)제도의 필요성을 알고 권리화의 일반적 지식과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53. 나는 지식재산(특허)제도의 필요성을 알고 권리화의 일반적 지식과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54. 나는 자신의 특허 아이디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

54. 나는 자신의 특허 아이디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

55. 나는 특허출원 명세서의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55. 나는 특허출원 명세서의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56. 내가 고안한 발명 아이디어를 어떤 방법으로 특허출원 해야 하는지 그 절차를 설명할 수 있다. *

56. 내가 고안한 발명 아이디어를 어떤 방법으로 특허출원 해야 하는지 그 절차를 설명할 수 있다. *

5-2. 지식재산 활용능력

5-2. 지식재산 활용능력

57. 나는 특허기술의 정보 검색을 통해 나의 아이디어와 유사한 기술이 있는지 조사할 수 있다. *

57. 나는 특허기술의 정보 검색을 통해 나의 아이디어와 유사한 기술이 있는지 조사할 수 있다. *

58. 나는 관심 있는 기술 분야의 특허기술 조사를 통해 필요한 관련 기술의 정보를 분석 할 수 있다.*

58. 나는 관심 있는 기술 분야의 특허기술 조사를 통해 필요한 관련 기술의 정보를 분석 할 수 있다.*

59. 나는 여러 출처로부터 신뢰할 수 있는 발명 및 특허정보를 찾아낼 수 있다. *

59. 나는 여러 출처로부터 신뢰할 수 있는 발명 및 특허정보를 찾아낼 수 있다. *

60. 나는 지식재산 창출에 유용한 정보를 검색, 수집, 분류, 배치할 수 있다.*

60. 나는 지식재산 창출에 유용한 정보를 검색, 수집, 분류, 배치할 수 있다.*

6. 협업 능력

6-1. 비전공유능력

6-1. 비전공유능력

61. 나는 팀 프로젝트를 할 때, 과제의 수행 방향에 대해 팀 구성원들과 함께 설정하고 공유한다.*

61. 나는 팀 프로젝트를 할 때, 과제의 수행 방향에 대해 팀 구성원들과 함께 설정하고 공유한다.*

62. 나는 팀 프로젝트를 할 때, 팀 구성원들과 함께 과제 진행 과정별로 달성목표를 설정한다. *

62. 나는 팀 프로젝트를 할 때, 팀 구성원들과 함께 과제 진행 과정별로 달성목표를 설정한다. *

63. 나는 팀 프로젝트를 할 때, 목표를 실현 가능한 전략으로 명료하게 제시한다. *

63. 나는 팀 프로젝트를 할 때, 목표를 실현 가능한 전략으로 명료하게 제시한다. *

64. 나는 팀 프로젝트를 할 때, 평소 팀 구성원들과 과제 달성목표에 대해 자주 이야기 한다. *

64. 나는 팀 프로젝트를 할 때, 평소 팀 구성원들과 과제 달성목표에 대해 자주 이야기 한다. *

65. 나는 팀 프로젝트를 할 때, 팀 구성원들과 명확한 비전 및 목표 제시를 통해서 주인의식을 갖도록 이끈다.*

65. 나는 팀 프로젝트를 할 때, 팀 구성원들과 명확한 비전 및 목표 제시를 통해서 주인의식을 갖도록 이끈다.*

6-2. 갈등관리능력

6-2. 갈등관리능력

66. 나는 팀 활동에서 구성원들간 갈등이 발생하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화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66. 나는 팀 활동에서 구성원들간 갈등이 발생하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화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67. 나는 팀 활동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왜 문제가 있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동료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함께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67. 나는 팀 활동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왜 문제가 있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동료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함께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68. 나는 팀 활동에서 겪는 어려움을 동료들에게 솔직하게 이야기하고 해결방안을 함께 논의한다.*

68. 나는 팀 활동에서 겪는 어려움을 동료들에게 솔직하게 이야기하고 해결방안을 함께 논의한다.*

69. 나는 팀 활동에서 상대방의 요구와 의도를 적절히 수용하고 절충하고자 노력한다. *

69. 나는 팀 활동에서 상대방의 요구와 의도를 적절히 수용하고 절충하고자 노력한다. *

70. 나는 팀 활동에서 팀 구성원간 갈등상황에서 서로 만족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노력한다.*

70. 나는 팀 활동에서 팀 구성원간 갈등상황에서 서로 만족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노력한다.*

6-3. 자원활용능력

6-3. 자원활용능력

71. 나는 문제해결을 위해서 학교내외 관련 분야의 다양한 사람들과 접촉할 수 있다.*

71. 나는 문제해결을 위해서 학교내외 관련 분야의 다양한 사람들과 접촉할 수 있다.*

72. 나는 주변 사람을 통해 문제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을 확보할 수 있다.*

72. 나는 주변 사람을 통해 문제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을 확보할 수 있다.*

73. 나는 문제해결에 필요한 정부 혹은 지자체의 지원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찾아본다.*

73. 나는 문제해결에 필요한 정부 혹은 지자체의 지원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찾아본다.*

74. 나는 문제해결에 필요한 시설 및 기관을 직접 방문하여 협조를 구할 수 있다.*

74. 나는 문제해결에 필요한 시설 및 기관을 직접 방문하여 협조를 구할 수 있다.*

7. 커뮤니케이션능력

7-1. 공감능력

7-1. 공감능력

75. 나는 상대방의 말과 태도에 집중하여 감정, 의도, 상황 등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

75. 나는 상대방의 말과 태도에 집중하여 감정, 의도, 상황 등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

76. 나는 상대방의 말과 태도에 숨겨진 의미를 파악하여 의도를 확인할 수 있다.*

76. 나는 상대방의 말과 태도에 숨겨진 의미를 파악하여 의도를 확인할 수 있다.*

77. 나는 상대방의 의견을 끝까지 경청하여 나의 입장과 어떻게 다른지 이해하고자 한다. *

77. 나는 상대방의 의견을 끝까지 경청하여 나의 입장과 어떻게 다른지 이해하고자 한다. *

78. 나는 적절한 질문을 통해 상대방의 의도를 파악한다.*

78. 나는 적절한 질문을 통해 상대방의 의도를 파악한다.*

79.나는 상대방과 대화할 때 나의 말과 행동을 어떻게 받아들일지 주의를 기울인다.*

79.나는 상대방과 대화할 때 나의 말과 행동을 어떻게 받아들일지 주의를 기울인다.*

7-2. 의사전달 능력

7-2. 의사전달 능력

80. 나는 상대방의 이해도를 파악하면서 나의 의견을 발표할 수 있다.*

80. 나는 상대방의 이해도를 파악하면서 나의 의견을 발표할 수 있다.*

81. 나는 적절한 어휘를 사용하며 상대방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발표할 수 있다. *

81. 나는 적절한 어휘를 사용하며 상대방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발표할 수 있다. *

82. 나는 상대방의 수준을 고려하여 용어나 사례를 적절히 사용한다.*

82. 나는 상대방의 수준을 고려하여 용어나 사례를 적절히 사용한다.*

83. 나는 청중 앞에서 자신 있게 행동하며 의도한 바를 이해하기 쉽게 전달한다.*

83. 나는 청중 앞에서 자신 있게 행동하며 의도한 바를 이해하기 쉽게 전달한다.*

84. 나는 발표 시 적절한 소리와 정확한 발음으로 잘 들리도록 이야기 한다.*

84. 나는 발표 시 적절한 소리와 정확한 발음으로 잘 들리도록 이야기 한다.*

7-3. 설득능력

7-3. 설득능력

85. 나는 상반된 의견을 가진 상대방과 이야기하는 것에 대해 두렵지 않다. *

85. 나는 상반된 의견을 가진 상대방과 이야기하는 것에 대해 두렵지 않다. *

86. 나의 의견에 대한 지지를 이끌어 내기 위해 상대방의 관심사를 활용한다.*

86. 나의 의견에 대한 지지를 이끌어 내기 위해 상대방의 관심사를 활용한다.*

87. 내 생각이나 의견을 상대방에게 알기 쉽게 표현하면서 잘 이해시키고 설득한다.*

87. 내 생각이나 의견을 상대방에게 알기 쉽게 표현하면서 잘 이해시키고 설득한다.*

88. 나는 구체적인 근거 자료를 제시하면서 설득한다.*

88. 나는 구체적인 근거 자료를 제시하면서 설득한다.*

8. 기업가 윤리

8-1. 사회공헌의지

8-1. 사회공헌의지

89. 나는 내 자신의 이익뿐만 아니라 사회적 공익을 추구하고자 한다.*

89. 나는 내 자신의 이익뿐만 아니라 사회적 공익을 추구하고자 한다.*

90. 나는 개인의 이익만큼 사회적 가치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90. 나는 개인의 이익만큼 사회적 가치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91. 나는 자신의 목표 수립 및 달성에 있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목표달성을 추구한다.*

91. 나는 자신의 목표 수립 및 달성에 있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목표달성을 추구한다.*

8-2. 상생추구

8-2. 상생추구

92. 나는 사회의 일원으로서 더불어, 함께 살아간다는 마음가짐을 갖는다.*

92. 나는 사회의 일원으로서 더불어, 함께 살아간다는 마음가짐을 갖는다.*

93. 나는 사회적 나눔과 배려 등의 의미를 이해하고 파악하고자 노력한다. *

93. 나는 사회적 나눔과 배려 등의 의미를 이해하고 파악하고자 노력한다. *

94. 나는 내가 가진 지식, 정보, 노하우를 기꺼이 공유, 전수하고자 노력한다.*

94. 나는 내가 가진 지식, 정보, 노하우를 기꺼이 공유, 전수하고자 노력한다.*

95. 나는 나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지식과 기술을 배우고 싶다.*

95. 나는 나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지식과 기술을 배우고 싶다.*

이벤트 자동 응모를 위하여 이메일을 입력해 주세요.*

이벤트 자동 응모를 위하여 이메일을 입력해 주세요.*

즐거운 이벤트 소식지 ‘더 브레인’
with Hiceo
사업자등록 :850-49-00684

© 2018 Unique with HiC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