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년 삶의 균형 연구 참여 안내

1. 연구 개요

가. 연구 제목: 중장년 삶의 균형 연구

나.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만 40세 이상 64세 이하의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삶의 균형 상태를 포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그 신뢰도 및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신체, 심리, 인지, 사회, 환경, 일, 경제 등 다차원적 삶의 질을 평가하여, 개인이 자신의 삶의 균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진단 도구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다. 연구비 지원기관: 본 연구는 2023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됩니다 (과제번호: NRF-2023S1A5C2A02095195).

2. 연구 참여 및 수행방법

가. 연구 대상 (선정 및 제외 기준)

선정 기준: 본 연구는 만 40세 이상 64세 이하의 대한민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합니다.

제외 기준: 설문 내용을 이해하고 스스로 응답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분, 연구에 대한 설명문을 읽었지만 연구 참여에 대해 자유의지에 따라 동의하지 않는 분은 참여가 제한됩니다.

나. 연구 참여 기간 및 소요 시간

참여 기간: 1회 참여

소요 시간: 최대 30분 (개인의 응답 속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조사로 진행됩니다.
  • 설문 링크를 통해 연구 설명문을 충분히 읽고 동의하신 분에 한해 참여가 가능합니다.
  • 참여자는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이용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자율적으로 설문에 응답하게 됩니다.
  • 설문은 신체 건강, 심리 상태, 사회적 관계, 일과 경제적 상태나 그에 대한 감정, 생활 환경 만족도 등 삶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자기보고식 문항으로 구성됩니다.

라. 연구 참여 보상

설문을 완료하신 모든 참여자께는 감사의 의미로 조사기관의 적립금 2,000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3. 참여자의 권리와 보호

가. 예상되는 이익과 위험(불편함)

예상 이익: 본 연구에 참여함으로써 중장년층 개인의 삶의 질과 균형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예상 위험(불편함) 1: 설문에는 우울, 불안 등 개인의 정신 건강에 대한 민감한 질문이 일부 포함되어 있어, 응답 중 심리적 불편감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만약 설문 응답 중이나 이후에 불편함을 느끼실 경우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1577-0199)나 보건복지콜센터(129)를 통해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는 설명문에 기재된 연구담당자에게 연락 시 필요한 지원 조치를 제공합니다.

예상 위험(불편함) 2: 시간적 부담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설문 응답에는 최대 30분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며, 참여자에 따라 경미한 시간적 부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상 위험(불편함) 2에 대한 보호 방안: 설문 시작 전 예상 소요 시간에 대해 충분히 고지하였으며, 참여 여부는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나. 자발적 참여 및 동의 철회

  • 연구 참여는 완전히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며, 참여를 원치 않을 경우 거부할 수 있습니다.
  • 설문 진행 중 또는 완료 후에도 언제든지 동의를 철회(참여를 중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어떠한 불이익도 없습니다.
  • 동의 철회 시, 요청에 따라 이미 수집된 귀하의 모든 연구 자료는 즉시 폐기됩니다.

다. 개인정보 보호 대책

  • 익명성 보장: 본 연구는 참여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을 직접 식별할 수 있는 정보는 일절 수집하지 않습니다.
  • 자료 관리: 수집된 모든 설문 데이터는 식별 불가능한 형태로 암호화되어 연구진의 컴퓨터에 안전하게 저장됩니다. 연구 자료는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법률에서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참여자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되지 않습니다.
  • 정보 파기: 연구 종료 후, 관련 규정에 따라 연구 데이터는 3년간 보관되며 이후 안전하게 영구 파기됩니다.
  •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이창현 (연구담당자)

4. 연구진 및 관련 기관 정보

가. 연구진 정보

  • 연구책임자: 최윤영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 연구담당자: 이창현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박사과정 학생)
  • 공동연구자: 임세영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석사과정 학생)
  • 공동연구자: 이상희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석사과정 학생)
  • 공동연구자: 이선주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석사과정 학생)
  • 공동연구자: 이지예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석사과정 학생)

나. 연구 관련 문의

본 연구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아래 연락처로 언제든지 문의해 주십시오.

연락처: 010-5945-5980 / 이메일: changhyeon@ajou.ac.kr (24시간 응답 가능)

다. 연구 참여자 권리 보호 문의

연구 참여와 관련하여 자신의 권리에 대해 더 알고 싶거나, 연구 참여 중 불만 또는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연구의 윤리성을 심의하는 아래 기관에 연락하여 독립적인 조언을 얻을 수 있습니다.

기관명: 아주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연락처: 031-219-3743~4 / 이메일: ajouirb@ajou.ac.kr

연구 동의서

 

 본인은 상기 연구에 대한 설명을 이해하였으며, 잠재적 위험(불편함)과 이익에 대한 안내를 충분히 받았습니다.
자발적인 의사에 따라 본 연구에 참여하는 것에 대해 다음 항목들을 확인해주시고 동의 여부를 선택해주십시오.
 

1. 나는 연구목적에 대하여 잘 이해했습니다.

2. 설명과 질문의 기회를 충분히 제공받았습니다.

3. 나는 예상되는 위험과 이익을 숙지하였습니다.

4. 연구에 제공되는 개인정보의 내용, 관리방법, 연구자 및 관계자가 열람할 수 있다는 사실 및 개인정보의 폐기예정일에 대하여 잘 알고 있습니다.

5. 나는 언제든지(연구가 종료된 후에도) 연구참여 및 개인정보제공 관련 동의를 철회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한 불이익이 없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6. 나는 자발적으로 상기 연구참여에 동의합니다.

귀하는 위의 사항에 동의하십니까?

즐거운 이벤트 소식지 ‘더 브레인’
with Hiceo
사업자등록 :850-49-00684

© 2018 Unique with HiC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