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브레인 설문조사#0522psu4
설문지
(본 조사의 내용은 통계법 33조에 의거하여 비밀이 보장되며통계목적 외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의 박상은 연구원입니다.
본 설문은 '조직 내 상호작용과 리더십에 관한 연구' 입니다. 

📌 모집 대상

- 만 19세 이상, 현재 재직 중인 성인

- ‘리더-팔로워' 한 쌍(팀장-팀원/선배-후배/사원-인턴 모두 가능!)이 함께 참여해야 합니다.

 

📌 활동 내용

- 총 3회 설문 참여 (1주 간격, 자동 발송), 회차당 소요 시간 약 3분

 

📌 참여 방법

- 함께 참여할 리더와 팔로워가 각자의 링크를 통해 설문에 참여합니다.

- 각자 업무 환경에서의 본인 혹은 상대방(리더/팔로워)을 떠올리며 설문에 응답해 주세요.

✔️ 모든 응답은 익명으로 처리되며,  특정 개인이나 회사가 식별되거나 불이익이 발생하는 일은 없습니다.
✔️ 설문은 약 3분 정도 소요되며, 정답은 없으므로 솔직히 응답하시면 됩니다.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박상은 연구원
(문의사항 : sep26@snu.ac.kr)
PART 0.

귀하의 성함을 이니셜로 작성해주세요. *

귀하의 성함을 이니셜로 작성해주세요. *

(ex. 김철수 → ㄱㅊㅅ)

함께 참여하는 리더의 성함을 이니셜로 작성해주세요. *

함께 참여하는 리더의 성함을 이니셜로 작성해주세요. *

(ex. 김영희 → ㄱㅇㅎ)

PART 1.
본 설문을 함께 참여하시는 리더를 생각하며 설문에 응답하시면 됩니다.

지난 한 주 동안, 리더 A와 상호작용(도움이나 정보 제공 받기) 이후, 다음과 같은 감정을 느낀 적이 있다.

지난 한 주 동안, 리더 A와 상호작용(도움이나 정보 제공 받기) 이후, 다음과 같은 감정을 느낀 적이 있다.

긍정적 감정

긍정적 감정

1. 나는 영감을 받은 기분이었다.*

1. 나는 영감을 받은 기분이었다.*

2. 나는 정신이 맑아지는 기분이었다.*

2. 나는 정신이 맑아지는 기분이었다.*

3. 나는 기대되는 기분이었다.*

3. 나는 기대되는 기분이었다.*

4. 나는 의욕이 생기는 기분이었다.*

4. 나는 의욕이 생기는 기분이었다.*

5. 나는 무언가를 해내겠다는 의지가 강해졌다.*

5. 나는 무언가를 해내겠다는 의지가 강해졌다.*

부정적 감정

부정적 감정

1. 나는 두려운 느낌이 들었다.*

1. 나는 두려운 느낌이 들었다.*

2. 나는 속상한 기분이었다.*

2. 나는 속상한 기분이었다.*

3. 나는 긴장되었다.*

3. 나는 긴장되었다.*

4. 나는 겁이 났다.*

4. 나는 겁이 났다.*

5. 나는 괴로운 기분이었다.*

5. 나는 괴로운 기분이었다.*

6. 이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를 선택해주세요*

6. 이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를 선택해주세요*

PART 2.
본 설문을 함께 참여하시는 리더를 생각하며 설문에 응답하시면 됩니다.

지난 한 주 동안, 리더 A와 상호작용(도움이나 정보 제공 받기) 이후, 다음과 같은 감정을 느낀 적이 있다.

지난 한 주 동안, 리더 A와 상호작용(도움이나 정보 제공 받기) 이후, 다음과 같은 감정을 느낀 적이 있다.

상사에 대한 지지

상사에 대한 지지

1. 나는 그/그녀가 계속해서 나의 상사이기를 원한다.*

1. 나는 그/그녀가 계속해서 나의 상사이기를 원한다.*

2. 나는 그/그녀를 리더로서 받아들인다.*

2. 나는 그/그녀를 리더로서 받아들인다.*

3. 그/그녀는 팀장의 자리를 맡을 자격이 있다고 생각한다.*

3. 그/그녀는 팀장의 자리를 맡을 자격이 있다고 생각한다.*

4. 나는 그/그녀를 리더로서 인정하지 않는다.(R)*

4. 나는 그/그녀를 리더로서 인정하지 않는다.(R)*

리더 A의 유능함

리더 A의 유능함

1. 리더 A는 유능함을 보였다.*

1. 리더 A는 유능함을 보였다.*

2. 리더 A는 자신감이 있는 모습을 보였다.*

2. 리더 A는 자신감이 있는 모습을 보였다.*

3. 리더 A는 효율적인 모습을 보였다.*

3. 리더 A는 효율적인 모습을 보였다.*

4. 리더 A는 지적인 모습을 보였다.*

4. 리더 A는 지적인 모습을 보였다.*

5. 리더 A는 숙련된 모습을 보였다.*

5. 리더 A는 숙련된 모습을 보였다.*

6. 리더 A는 역량을 보였다.*

6. 리더 A는 역량을 보였다.*

리더 A의 따뜻함

리더 A의 따뜻함

1. 리더 A는 얼마나 관용적인가요?*

1. 리더 A는 얼마나 관용적인가요?*

2. 리더 A는 얼마나 따뜻한가요?*

2. 리더 A는 얼마나 따뜻한가요?*

3. 리더 A는 얼마나 온화한가요?*

3. 리더 A는 얼마나 온화한가요?*

4. 리더 A는 얼마나 성실한가요?*

4. 리더 A는 얼마나 성실한가요?*

힘내세요! 설문의 50% 이상이 진행되었습니다 🙂

힘내세요! 설문의 50% 이상이 진행되었습니다 🙂

PART 3.
본 설문을 함께 참여하시는 리더를 생각하며 설문에 응답하시면 됩니다.

지난 한 주 동안, 리더 A와 상호작용(도움이나 정보 제공 받기) 이후, 다음과 같은 감정을 느낀 적이 있다.

지난 한 주 동안, 리더 A와 상호작용(도움이나 정보 제공 받기) 이후, 다음과 같은 감정을 느낀 적이 있다.

감정 중심의 반추

감정 중심의 반추

1. 리더 A와 상호작용 했던 문제를 생각할 때, 나는 긴장되었다.*

1. 리더 A와 상호작용 했던 문제를 생각할 때, 나는 긴장되었다.*

2. 리더 A와 상호작용 했던 문제를 생각할 때, 나는 짜증이 났다.*

2. 리더 A와 상호작용 했던 문제를 생각할 때, 나는 짜증이 났다.*

3. 리더 A와 상호작용 했던 문제를 생각할 때, 나는 피로감을 느꼈다.*

3. 리더 A와 상호작용 했던 문제를 생각할 때, 나는 피로감을 느꼈다.*

4. 리더 A와 상호작용 했던 문제를 생각할 때, 나는 괴로움을 겪었다.*

4. 리더 A와 상호작용 했던 문제를 생각할 때, 나는 괴로움을 겪었다.*

문제 해결 중심의 반추

문제 해결 중심의 반추

1. 리더 A와의 상호작용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지 고민했다.*

1. 리더 A와의 상호작용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지 고민했다.*

2. 리더 A와의 상호작용 중 내가 했던 일을 다시 평가하는 나를 발견했다.*

2. 리더 A와의 상호작용 중 내가 했던 일을 다시 평가하는 나를 발견했다.*

3. 리더 A와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위해 앞으로 해야 할 일들을 생각했다.*

3. 리더 A와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위해 앞으로 해야 할 일들을 생각했다.*

4. 리더 A와의 상호작용과 관련된 문제의 해결책을 찾았다.*

4. 리더 A와의 상호작용과 관련된 문제의 해결책을 찾았다.*

PART 4.
본 설문을 함께 참여하시는 리더를 생각하며 설문에 응답하시면 됩니다.

지난 한 주 동안, 리더 A와 상호작용(도움이나 정보 제공 받기) 이후, 다음과 같은 감정을 느낀 적이 있다.

지난 한 주 동안, 리더 A와 상호작용(도움이나 정보 제공 받기) 이후, 다음과 같은 감정을 느낀 적이 있다.

 

리더의 시간 통제력

리더의 시간 통제력

1. 리더 A는 자신의 시간을 잘 통제하는 것처럼 보인다. *

1. 리더 A는 자신의 시간을 잘 통제하는 것처럼 보인다. *

2. 리더 A는 다른 사람들로 인해 일정이 자주 방해받는 것처럼 보인다. *

2. 리더 A는 다른 사람들로 인해 일정이 자주 방해받는 것처럼 보인다. *

3. 리더 A는 과제 수행에 필요한 시간을 종종 과소평가하는 것처럼 보인다. *

3. 리더 A는 과제 수행에 필요한 시간을 종종 과소평가하는 것처럼 보인다. *

4. 리더 A는 중요하지 않은 일에 시간을 많이 쓰는 경향이 있다. *

4. 리더 A는 중요하지 않은 일에 시간을 많이 쓰는 경향이 있다. *

5. 리더 A는 하기 시맇지만 필요한 일들을 자주 미루는 것처럼 보인다. *

5. 리더 A는 하기 시맇지만 필요한 일들을 자주 미루는 것처럼 보인다. *

도움의 품질

도움의 품질

1. 귀하는 상사의 도움이 유용하다고 느끼셨습니까?*

1. 귀하는 상사의 도움이 유용하다고 느끼셨습니까?*

2. 귀하는 상사의 도움을 받아들이려 하셨습니까?*

2. 귀하는 상사의 도움을 받아들이려 하셨습니까?*

3. 상사의 도움이 귀하의 업무 향상에 도움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까?*

3. 상사의 도움이 귀하의 업무 향상에 도움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까?*

4. 상사의 도움이 귀하의 업무, 문제, 또는 이슈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까?*

4. 상사의 도움이 귀하의 업무, 문제, 또는 이슈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까?*

PART 5.
본 설문을 함께 참여하시는 리더를 생각하며 설문에 응답하시면 됩니다.

지난 한 주 동안, 리더 A와 상호작용(도움이나 정보 제공 받기) 이후, 다음과 같은 감정을 느낀 적이 있다.

지난 한 주 동안, 리더 A와 상호작용(도움이나 정보 제공 받기) 이후, 다음과 같은 감정을 느낀 적이 있다.

리더의 능동적 미루기 

리더의 능동적 미루기 

1. 리더 A는 시간을 더 효율적으로 쓰기 위해 일부러 일을 미루는 편이다.*

1. 리더 A는 시간을 더 효율적으로 쓰기 위해 일부러 일을 미루는 편이다.*

2. 리더 A는 마감 압박이 심하면 긴장되고 집중이 잘 안 된다. (R)*

2. 리더 A는 마감 압박이 심하면 긴장되고 집중이 잘 안 된다. (R)*

3. 리더 A는 일을 마지막 순간까지 미루면 결과에 만족하지 못할 때가 많다. (R)*

3. 리더 A는 일을 마지막 순간까지 미루면 결과에 만족하지 못할 때가 많다. (R)*

4. 리더 A는 스스로 정한 마감일을 자주 지키지 못한다. (R)*

4. 리더 A는 스스로 정한 마감일을 자주 지키지 못한다. (R)*

5. 리더 A는 일을 급하게 끝낼 때 오히려 결과에 더 만족하는 편이다.*

5. 리더 A는 일을 급하게 끝낼 때 오히려 결과에 더 만족하는 편이다.*

6. 리더 A는 마감이 가까워야 오히려 일이 더 잘 된다.*

6. 리더 A는 마감이 가까워야 오히려 일이 더 잘 된다.*

7. 리더 A는 스스로 동기를 높이기 위해 일부러 일을 미룬다.*

7. 리더 A는 스스로 동기를 높이기 위해 일부러 일을 미룬다.*

8. 리더 A는 자주 늦기는 해도 결국엔 일을 끝낸다.*

8. 리더 A는 자주 늦기는 해도 결국엔 일을 끝낸다.*

리더의 수동적 미루기

리더의 수동적 미루기

1. 리더 A는 단지 자리에 앉아서 하면 되는 일도 자주 바로 하지 않고 미룬다.*

1. 리더 A는 단지 자리에 앉아서 하면 되는 일도 자주 바로 하지 않고 미룬다.*

2. 리더 A는 보통 가능한 한 빨리 결정을 내린다. (R)*

2. 리더 A는 보통 가능한 한 빨리 결정을 내린다. (R)*

3. 리더 A는 대부분의 일을 계획한 시간 안에 끝낸다. (R)*

3. 리더 A는 대부분의 일을 계획한 시간 안에 끝낸다. (R)*

4. 리더 A는 해야 할 일이 있어도 시작하기 전에 자주 미룬다.*

4. 리더 A는 해야 할 일이 있어도 시작하기 전에 자주 미룬다.*

5. 리더 A는 종종 “내일 할게”라고 말하며 일을 미룬다.*

5. 리더 A는 종종 “내일 할게”라고 말하며 일을 미룬다.*

6. 리더 A는 마감이 다가와도 다른 일에 시간을 보내며 낭비할 때가 많다.*

6. 리더 A는 마감이 다가와도 다른 일에 시간을 보내며 낭비할 때가 많다.*

7. 리더 A는 해야 할 일을 마감보다 더 일찍 끝내는 편이다. (R)*

7. 리더 A는 해야 할 일을 마감보다 더 일찍 끝내는 편이다. (R)*

PART 6.

1. 연령 (만 나이로)*

1. 연령 (만 나이로)*

2. 성별*

2. 성별*

3. 업종*

3. 업종*

PART 7.

1. 이 설문에 응답하는 동안 잠시 집중하지 못한 시간이 있었다.*

1. 이 설문에 응답하는 동안 잠시 집중하지 못한 시간이 있었다.*

2. 나는 이 응답이 연구 데이터로 쓰기에 괜찮다고 생각한다.*

2. 나는 이 응답이 연구 데이터로 쓰기에 괜찮다고 생각한다.*

이벤트 자동 응모를 위하여 이메일을 입력해 주세요. *

이벤트 자동 응모를 위하여 이메일을 입력해 주세요. *

즐거운 이벤트 소식지 ‘더 브레인’
with Hiceo
사업자등록 :850-49-00684

© 2018 Unique with HiC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