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먼저 바쁘신 중에도 소중한 시간을 내어 주셔서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본 설문은 고학년 대학생의 특성불안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를 위한 것입니다.
모든 문항에는 옮거나 틀린 답은 없으니, 귀하와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잘 판단하여 솔직하게 응답해 주시길 바랍니다.
귀하의 솔직하고 성의 있는 응답은 좋은 연구 결과를 얻는데 기초가 될 것이므로 실수로 빠뜨리는 문항 없이 성실하게 응답해 주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또한 귀하께서 응답해 주신 모든 내용은 오로지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될 것이며, 개인의 비밀이 철저히 보장됨을 약속드립니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본 연구에 궁금한 사항이 있으실 경우 아래의 메일 주소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 5월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연구자: 권수빈
이메일: patty0129@naver.com
조사된 모든 내용은 통계적 이외에는 절대로 사용할 수 없으며 그 비밀이 보호되도록 통계법 [제 13조 및 제 14조]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 다음은 통계처리를 위해 귀하의 일반적인 사항을 알아보는 문항입니다.이름은 적지 않으니 솔직하게 답해주세요.( ) 안에 답하거나, 해당 번호에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한 문항도 빠짐없이 성의껏 응답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성별 *
2. 나이*
(※ 아래 문항은 만 나이(현재 생일 기준 나이)를 기준으로 선택해 주세요.)
3. 학년*
(휴학 중이거나 방학인 경우, 직전 학기 등록 기준으로 선택해 주세요.)
4. 취업경험
4-1. 귀하는 현재 또는 과거에 정규직(Full-time)으로 취업한 경험이 있습니까?*
4-2. 귀하는 졸업 후 국내에서 취업을 계획중입니까? (공공기관, 민간기업, 외국계 포함)*
5. 경제적 상황
5-1. 현재 학업 및 생활비에 대한 부모님의 경제적 지원 수준은 어느 정도입니까?*
5-2. 부모님으로부터 경제적 지원을 받는 경우, 지원 범위를 선택해 주세요. (복수 응답 가능)*
5-3. 본인의 경제적 자립을 위해 현재 수입이 있는 활동을 하고 있습니까?*
5-4. 학업과 진로 결정 과정에서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불안을 느낀 적이 있습니까?*
5-5. 다음 중 귀하의 경제적 불안감과 가장 관련이 있는 요인은 무엇입니까? (복수 응답 가능)*
▣ 다음은 사람들이 자신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고 있는 문장들입니다. 각 문장을 읽으시고 오른편에 있는 항목 중에서 여러분이 일상적으로 흔히 느끼고 있는 자신의 성격적인 경향을 가장 잘 나타내주는 문항에 체크(√)해주시기 바랍니다. 이러한 문제에는 옳고 그른 답이 없습니다. 어느 한 문항에 답하는 데 너무 오랜 시간을 보내지 마시고, 편안하게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특성불안 평가 척도(Trait Anxiety Inventory: TAI)>
⚫다음은 특성불안을 측정하는 척도입니다.각 문항을 주의깊게 읽으시고 평소 자신의 상태와 가장 가깝다고 생각되는 정도의 번호에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1. 나는 유쾌하다.*
2. 나는 초조하고 안절부절 못한다.*
3. 나는 자신에 만족한다.*
4. 나도 남들처럼 행복했으면 좋겠다.*
5. 나는 낙오자처럼 느낀다.*
6. 나는 느긋하다.*
7. 나는 평온하고 침착하다.*
8. 나는 어려움이 많아서 감당해 내지 못할 것 같다.*
9. 나는 대수롭지 않은 일에 너무 걱정하는 편이다.*
10. 나는 행복하다.*
11. 나는 여러 생각들로 마음이 혼란스럽다.*
12. 나는 자신감이 부족하다.*
13. 나는 안전하다.*
14. 나는 어렵지 않게 일을 결정한다.*
15. 나는 자신이 부적절하다고 느낀다.*
16. 나는 만족스럽다.*
17. 나는 사소한 생각으로 마음을 쓰고 괴로워한다.*
18. 나는 한번 낙담하면 헤어나기 힘들다.*
19. 나는 쉽게 동요하지 않는다.*
20. 나는 당면한 문제들로 긴장되고 짜증스럽다.*
▣ 다음은 사람들이 자신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고 있는 문장들입니다.각 문장을 읽으시고 오른편에 있는 항목 중에서 여러분이 일상적으로 흔히 느끼고 있는 자신의 성격적인 경향을 가장 잘 나타내주는 문항에 체크(√)*해주시기 바랍니다. 이러한 문제에는 옳고 그른 답이 없습니다.어느 한 문항에 답하는 데 너무 오랜 시간을 보내지 마시고, 편안하게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인지적 종결욕구 척도(Need for Closure : NFCS)>
⚫ 다음은 인지적 종결욕구를 측정하는 척도입니다.각 문항을 주의깊게 읽으시고 평소 자신의 상태와 가장 가깝다고 생각되는 정도의 번호에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1. 나는 업무에 확실한 규칙과 질서를 두는 것이 성공을 위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2. 무언가에 대해 결심을 한 이후에도 언제나 다른 의견을 적극 검토한다.*
3. 불확실한 상황을 싫어한다.*
4.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싫어한다.*
5. 예측 불가한 친구들과 어울리기 좋아한다.*
6. 내 기질에는 시간이 규칙적으로 정해져있는 질서 잡힌 생활이 맞다고 느낀다.*
7. 외식을 할 때는 전에 가본 적이 있어 예측이 가능한 식당에 가고 싶다.*
8. 내 삶에 어떤 사건이 일어난 이유가 이해되지 않으면 마음이 불편하다.*
9. 집단 내의 모두가 추구하는 가치에 어떤 한 사람이 반대하면 짜증이 난다.*
10. 막판에 계획을 바꾸길 매우 싫어한다.*
11. 무엇을 예측할 수 있을지 알지 못하는 채로 낯선 상황에 들어서길 싫어한다.*
12. 결정을 내리면 안심이 된다.*
13. 어떤 문제에 직면하면 빨리 해결하고 싶어 안달한다.*
14. 중요한 문제를 놓고 갈팡질팡하게 되면 매우 짜증이 난다.*
15. 어떤 문제의 해결책을 바로 찾지 못하면 금세 초조해지고 안달이 난다.*
16. 하루밤 동안 곰곰이 생각하기보다 빨리 결정해버리고 싶다.*
17. 결정한 시간이 넉넉히 남아있어도 빨리 결정해야 할 것 같은 강박을 느낀다.*
18. 막판에 계획이 바뀌면 재미있다고 느낀다.*
19. 무슨 일이 생길지 모르는 채로 새로운 상황에 들어서는 불확실성을 즐긴다.*
20. 개인 공간이 대체로 어수선하고 정리가 되어 있지 않은 편이다.*
21. 대다수의 사회적 갈등에서 어느 쪽이 옳고 어느 쪽이 옳지 않은지 쉽게 분간할 수 있다.*
22. 거의 언제나, 심지어 그럴 이유가 없을 때조차 빨리 결정을 내려야 할 것 같아 마음이 급하다.*
23. 질서 경연함과 정리정돈이야말로 훌륭한 학생의 가장 중요한 덕목이라고 믿는다.*
24. 대다수의 갈등 상황을 놓고 봤을 때, 대개는 양쪽 모두 옳은 견해일 수도 있다고 믿는 편이다.*
25. 행동을 예측할 수 없는 사람들과 어울리길 좋아하지 않는다.*
26. 상대가 어떻게 행동할지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오래 알고 지낸 친구들과 어울리길 선호한다.*
27. 나는 목표와 요건을 확실히 밝히지 않는 수업에서 가장 잘 배울 것 같다.*
28. 어떤 문제에 대해 생각할 때는 가능하다면 그 문제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고려한다.*
29. 언제나 사람들의 생각을 알고 싶어한다.*
30. 어떤 사람의 말이 다양한 의미를 띨 가능성이 있는 경우를 싫어한다.*
31. 결정을 내리기 어려워하는 사람의 말을 듣고 있으면 짜증이 난다.*
32. 내 경험에 비추어 보면 일관된 일과를 세워놓는 것이 삶을 더 즐겁게 하는 것 같다.*
33. 확실하고 체계적인 생활방식을 즐긴다.*
34. 나와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들과의 교류가 더 즐겁다.*
35. 모든 것이 저마다 제자리에 있는 것이 좋다.*
36. 어떤 사람의 말뜻이나 의도가 확실하게 와닿지 않으면 마음이 불편하다.*
37. 어떤 문제에 직면하든 늘 여러가지 해결책을 생각한다.*
38. 불확실한 상태에 계속 놓여 있는 것보다 나쁜 소식이라도 빨리 알게 되는 편이 낫다.*
39. 나 자신의 견해를 세우기 전에 여러 의견을 참고하지 않는 편이다.*
40.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을 싫어한다.*
41. 일이나 학업에서 날마다 규칙적인 일과들이 싫다.*
▣ 다음은 사람들이 자신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고 있는 문장들입니다.각 문장을 읽으시고 오른편에 있는 항목 중에서 여러분이 일상적으로 흔히 느끼고 있는 자신의 성격적인 경향을 가장 잘 나타내주는 문항에 체크(√)해주시기 바랍니다.이러한 문제에는 옳고 그른 답이 없습니다.어느 한 문항에 답하는 데 너무 오랜 시간을 보내지 마시고, 편안하게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인지적 회피 척도(Cognitive Avoidance Questionnaire: CAQ)>
⚫다음은 인지적 회피를 측정하는 척도입니다.각 문항을 주의깊게 읽으시고 평소 자신의 상태와 가장 가깝다고 생각되는 정도의 번호에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1. 별로 생각하고 싶지 않은 것들이 있다.*
2. 생각하고 싶지 않은 것을 생각하게끔 하는 상황을 피한다.*
3. 머릿속에 떠오르는 위협적인 이미지를 혼잣말로 대체시킨다.*
4. 나와 관련된 일들을 마치 다른 사람에게 일어나는 일처럼 생각한다.*
5. 피하려고 애쓰는 생각들이 있다.*
6. 나는 두려움을 피하기 위해, 어떤 상황의 가장 기분 상하는 면은 생각하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7. 때때로 기분 나쁜 생각을 하게 하는 대상들을 피할 때가 있다.*
8. 나를 불안하게 만드는 주제에 대해 생각하지 않으려고 주의를 딴 데로 돌린다.*
9. 생각하고 싶지 않은 것들을 생각하게끔 하는 사람들을 피한다.*
10. 나는 자주 내 머릿속에 드는 생각으로부터 주의를 딴 데로 돌리기 위해 다른 무언가를 한다.*
11. 걱정거리인 중요한 문제를 생각하지 않기 위해 사소한 것들을 생각한다.*
12. 가끔 어떤 생각을 하지 않기 위해 일부러 다른 일에 열중한다.*
13. 기분을 상하게 하는 생각을 피하려고 억지로 다른 생각을 한다.*
14. 생각하지 않으려고 애쓰는 것들이 있다.*
15. 무서운 시각적 이미지를 피하려고 머릿속으로 뭔가를 되뇐다.*
16. 때때로 생각하고 싶지 않은 것을 생각나게 만드는 장소를 피한다.*
17. 불안정하게 느껴지는 미래에 대해 생각하지 않기 위해 과거의 일들을 생각한다.*
18. 내가 생각하고 싶지 않은 것을 떠올리게 하는 행동을 피한다.*
19. 기분을 상하게 하는 이미지가 떠오르면, 머릿속으로 혼잣말을 하며 다른 생각으로 바꾼다.*
20. 더 중요한 일을 생각하지 않으려고 여러 가지 사소한 일들을 생각한다.*
21. 자꾸 생각나는 것을 잊으려고 다른 일을 열심히 할 때가 때때로 있다.*
22. 기분 나쁜 생각이 들게 만드는 사람들과 연관된 상황을 피한다.*
23. 기분 상한 일을 이미지로 그리기보다는 내 자신에게 혼잣말로 그 일을 설명하려고 노력한다.*
24. 머릿속에 위협적인 상황이 이미지로 떠오르면, 내 자신에게 혼잣말로 그 상황을 설명하여 그 이미지를 잊으려고 한다.*
25. 내 자신의 걱정거리를 생각하기보다는 다른 사람들이 걱정하는 것들에 대해 생각한다.*
▣ 다음은 사람들이 자신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고 있는 문장들입니다.각 문장을 읽으시고 오른편에 있는 항목 중에서 여러분이 일상적으로 흔히 느끼고 있는 자신의 성격적인 경향을 가장 잘 나타내주는 문항에 체크(√)해주시기 바랍니다. 이러한 문제에는 옳고 그른 답이 없습니다. 어느 한 문항에 답하는 데 너무 오랜 시간을 보내지 마시고, 편안하게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진로스트레스 척도(Career Stress Inventory: CSI)>
⚫ 다음은 진로스트레스를 측정하는 척도입니다.각 문항을 주의깊게 읽으시고 평소 자신의 상태와 가장 가깝다고 생각되는 정도의 번호에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1. 내가 미래에 무슨 일을 하고 싶은지 잘 몰라서 답답하다.*
2. 취업 경쟁률이 너무 높다는 것이 걱정이다.*
3. 계획하고 있는 진로에 대해 나는 만족하지만 주위 사람들의 기대는 달라서 고민이다.*
4. 내 적성에 맞는 진로가 뭔지 몰라서 답답하다.*
5. 취업 준비를 위해 해야 할 것이 너무 많다는 것이 스트레스이다.*
6. 내 의지와는 반대로 부모님이 내가 안정적인 직업을 갖길 원하시는 것이 불만이다.*
7. 현재 계획 중인 진로가 내가 원하는 길인지 확신이 없어 힘들다.*
8. 학교생활과 취업준비를 같이 하는 것이 힘들어 스트레스이다.*
9. 원하는 직업이 경제적으로 안정적이지 못하여 여러 가지로 갈등을 겪는다.*
10. 진로를 확실히 정하지 않아 불안하다.*
11. 내가 원하는 곳에 취업을 할 수 있을지 걱정이다.*
12. 나의 적성이 내가 희망하는 진로에 적합하지 않은 것 같아서 고민이다.*
13. 취업을 위한 시험에 한 번에 통과할 수 있을지 걱정이다.*
14. 부모님과 내가 원하는 직업이 서로 달라서 갈등을 겪는다.*
15. 내가 계획하는 진로에 대해 사람들이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어서 고민이다.*
16. 진로를 준비하는데 무엇이 필요한지 잘 몰라서 막막하다.*
17. 직업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서 막막하다.*
18. 진로에 대비하여 어떤 시기에 무엇을 준비해야 할지 잘 몰라서 답답하다.*
19. 진로와 관련하여 주위에 도움을 받을 사람이 별로 없어서 막막하다.*
20. 원하는 직업을 가지는데 어떠한 자격이 필요한지 잘 몰라서 답답하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Short Form: CDMSES- SF)>
⚫ 다음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측정하는 척도입니다.각 문항을 주의깊게 읽으시고 평소 자신의 상태와 가장 가깝다고 생각되는 정도의 번호에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1. 내가 관심 있는 직업들에 대한 정보를 도서관이나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다.*
2. 여러 가지 전공들이 나열되어 있는 목록 중에서 내가 원하는 전공을 선택할 수 있다.*
3. 앞으로 5년간의 진로 계획을 세울 수 있다.*
4. 만약 내가 선택한 전공을 공부를 하는 데 학업상 어려움이 있을 경우, 어떤 방법들을 취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5. 나의 능력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다.*
6. 마음에 두고 있는 직업목록들 중에서 한 가지 직업을 선택할 수 있다.*
7. 선택한 전공을 이수하는데 어떤 교과과정(교육과정)이 요구되는지 알 수 있다.*
8. 힘든 상황에서도 내가 선택한 전공이나 진로목표를 이루기 위한 일들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9. 나에게 이상적인 직업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10. 향후 10년간의 직업고용 경향을 알 수 있다.*
11. 내가 선호하는 생활방식에 맞는 진로를 결정할 수 있다.*
12. 나는 나의 이력서를 잘 쓸 수 있다.*
13. 처음 선택이 만족스럽지 않다면 전공을 바꿀 수 있다.*
14. 직업선택과 관련된 여러 가지 가치들에 대해 나는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
15. 생각하고 있는 직업 평균 수입과 연봉을 알 수 있다.*
16. 진로결정을 하고 나면, 그것을 잘 한 것인지 잘 못한 것인지에 대해 고민하지 않는다.*
17. 선택한 진로가 만족스럽지 않으면 바꿀 수 있다.*
18. 진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내가 어떤 희생을 감수할 수 있고, 어떤 것은 어려운지를 구분해 낼 수 있다.*
19. 내가 관심있는 분야에서 현재 일하고 있는 사람들을 만나 이야기 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
20. 관심 있는 전공이나 진로를 나는 선택할 수 있다.*
21. 나의 적성이나 능력에 맞는 직종과 관련된 기관이나 기업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22. 내가 원하는 생활방식(라이프 스타일)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23. 대학원이나 전문 교육기관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 있다.*
24. 취업면접과 관련하여 필요한 절차들을 잘 해낼 수 있다.*
25. 처음 선택한 진로나 분야가 불가능하다면 다른 전공이나 진로의 대안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 다음은 사람들이 자신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고 있는 문장들입니다. 각 문장을 읽으시고 오른편에 있는 항목 중에서 여러분이 일상적으로 흔히 느끼고 있는 자신의 성격적인 경향을 가장 잘 나타내주는 문항에 체크(√)해주시기 바랍니다.이러한 문제에는 옳고 그른 답이 없습니다. 어느 한 문항에 답하는 데 너무 오랜 시간을 보내지 마시고, 편안하게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심리적 불편감 노출 질문지(Distress Disclosure Index: DDI)>
⚫ 다음은 심리적 불편감을 노출하는 자신의 경향성을 측정하는 척도입니다.각 문항을 주의깊게 읽으시고 평소 자신의 상태와 가장 가깝다고 생각되는 정도의 번호에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1. 나는 속상하면 대개 친구들에게 속내를 털어놓는다.*
2. 나는 내 문제에 관해 얘기하지 않는 편이다.*
3. 나에게 기분 나쁜 일이 생겼을 때 나는 얘기할 상대를 찾곤 한다.*
4. 나는 속상한 일에 대해 상의하지 않는 편이다.*
5. 나는 우울하거나 슬플 때 이러한 기분을 혼자 간직하는 편이다.*
6. 나는 내 문제들에 대해 함께 얘기할 사람들을 찾으려고 한다.*
7. 나는 기분이 좋지 않을 때, 이에 대한 것을 친구와 얘기한다.*
8. 기분이 좋지 않은 날에는 웬만해서는 이에 관해 이야기하고 싶지 않다.*
9. 나는 문제가 생겼을 때, 그것에 대해 얘기할 상대를 거의 찾으려고 하지 않는다.*
10. 나는 고민이 있을 때, 누구에게도 말하지 않는다.*
11. 나는 기분이 좋지 않을 때, 얘기할 누군가를 찾는 편이다.*
12. 나는 스트레스 받는 고민거리들을 사람들에게 기꺼이 말하려고 한다.*
<한국판 심리적 유연성 질문지 (Korean Personalized Psychological Flexibility Index: K-PPFI)>*
⚫ 다음 문항들은 가치있는 목표를 추구하면서 겪게 되는 내·외적 역경에 대응하는 방법에 대한 질문입니다. 지금 추구하고 있는 중요한 목표에 대해 잠시 생각해보세요.이 목표는 삶의 어느 영역에나 있을 수 있지만 반드시 하나의 목표를 골라야 합니다. 급하게 정하기보다는 충분히 생각해본 뒤 하나의 목표를 정하세요. 목표를 정했으면 다음의 빈칸에 적어주세요.*
이제 아래의 각 문장을 읽고, 이 목표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가장 잘 설명한 번호에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1. 나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가장 어렵게 느껴지는 일들을 피한다.*
2. 나는 더 즐거운 일을 할 수 있을 때, 목표 추구를 미룬다.*
3. 나는 목표를 추구하다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포기한다.*
4. 나는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거란 생각이나 느낌에 사로잡힌다.*
5. 나는 좌절했을 때, 목표 추구를 소홀히 한다.*
6. 나는 목표를 추구할 때 겪게 되는 어려움을 받아들인다.*
7. 나는 목표를 추구하는 동안 생기는 부정적인 생각과 감정에 맞서 싸우기보다는 받아들이려고 노력한다.*
8. 나는 목표와 관련된 부정적인 생각과 감정을 기꺼이 경험한다.*
9. 나는 목표에 대해 바꿀 수 없는 부분을 받아들인다.*
10. 나는 목표를 추구하면서 불쾌한 감정들에 사로잡히지 않고 이를 관찰할 수 있다.*
11. 목표와 관련된 장애물을 맞닥뜨렸을 때 경험하는 좌절은 오히려 동기부여가 된다.*
12. 걱정은 목표와 관련된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13. 다른 사람들이 나의 목표 추구를 방해할 때 느끼는 분노를 이용하여 목표 추구에 집중한다.*
14. 목표 추구과정에서 스스로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했을 때 느껴지는 죄책감은 오히려 나에게 동기부여가 된다.*
15. 나는 불쾌한 감정들이 목표를 추구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이벤트 참여를 위하여 이메일을 입력해 주세요. *
즐거운 이벤트 소식지 ‘더 브레인’with Hiceo사업자등록 :850-49-00684
© 2018 Unique with HiCeo